맨위로가기

빈센트 뒤비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센트 뒤비뇨는 1901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의 해명 및 합성에 대한 연구, 특히 펩타이드 호르몬의 최초 합성에 기여한 공로로 195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인슐린, 비오틴, 전이 메틸화, 페니실린 연구를 수행했으며, 황 함유 펩타이드, 단백질, 펩타이드 호르몬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렘센상, 파사노상, 윌러드 깁스상 등을 수상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워싱턴 대학교 교수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조지 워싱턴 대학교 교수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미국의 생화학자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생화학자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 미국의 생물학자 - 앤드루 파이어
    앤드루 파이어는 이중 가닥 RNA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를 파괴하여 단백질 번역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크레이그 멜로와 함께 발견하여 200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물학자이며,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병리학 및 유전학 교수와 미국 국립과학원 및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생물학자 - 엘리자베스 블랙번
    엘리자베스 블랙번은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아제의 기능, 노화 및 암과의 관계를 밝혀낸 분자생물학자로, 캐롤 W. 그라이더, 잭 쇼스택과 함께 텔로머라아제 발견 공로로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텔로미어 연구를 통해 세포 노화와 암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생명윤리 문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빈센트 뒤비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뒤 비뇨, 1955년
뒤 비뇨, 1955년
이름빈센트 뒤 비뇨
원어 이름Vincent du Vigneaud
출생1901년 5월 18일
출생지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사망1978년 12월 11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화이트 플레인스
분야유기화학, 펩타이드 합성
소속 기관에든버러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조지 워싱턴 대학교
코넬 대학교
모교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로체스터 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인슐린의 황
학위 논문 년도1927년
지도 교수존 R. 멀린
알려진 업적옥시토신바소프레신의 합성
수상윌리엄 H. 니컬스 메달 (1945년)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1948년)
노벨 화학상 (1955년)
윌러드 깁스상 (1956년)
지도 학생소피아 시몬즈

2. 생애

빈센트 뒤비뇨는 1901년 시카고에서 태어나 슈르츠 고등학교를 졸업했다.[4] 고등학교 시절부터 화학, 특히 에 관심을 가졌으며,[4][2]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24년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4] 같은 해 젤라 존 포드와 결혼했으며,[2] 잠시 듀폰에서 근무하기도 했다.[4]

이후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인슐린의 황' 연구로 1927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 박사 학위 후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존 제이콥 아벨 밑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쳤고(1927–1928), 유럽으로 건너가 독일스코틀랜드 등지에서 연구 경력을 쌓았다(1928–1929).[4]

귀국 후 일리노이 대학교 교수를 시작으로,[4] 1932년에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1938년부터는 코넬 의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 코넬 의과대학에서는 1967년 명예교수가 될 때까지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뉴욕주 이타카의 코넬 대학교에서 연구를 이어갔다.[4]

1974년 뇌졸중으로 인해 연구 활동을 중단했으며, 1978년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빈센트 뒤비뇨는 1901년 시카고에서 프랑스계 발명가이자 기계 기술자인 아버지 알프레드 뒤비뇨(Alfred du Vigneaud)와 어머니 메리 테레사(Mary Theresa)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는 슈르츠 고등학교에서 공부하여 1918년에 졸업했다.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황을 이용한 폭발물 실험을 하며 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4][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고학년 학생으로서 일리노이주 칼레도니아 근처 농장에서 일하며 소젖 짜는 기술을 익혔고, 이 경험으로 농부가 되기를 꿈꾸기도 했다.[2] 그러나 누나 베아트리체의 권유로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 진학하여 처음에는 화학 공학을 공부했으나, 곧 화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1학년 동안 공학보다는 화학이 나에게 더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나는 화학을 전공으로 바꾸었는데, 특히 유기 화학에서 고학년 학생들의 작업에 깊은 감명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나는 유기 화학의 의약 물질과 관련된 측면에 가장 관심이 있었고 생화학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4] 대학 시절 칼 쉽 마블[4] 교수와, 뒤비뇨가 "황에 대해 매우 열정적"이었다고 기억하는 하워드 B. 루이스[3] 교수의 강의는 그가 황 화합물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가정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학업과 일을 병행해야 했다.[2]

1924년 이학 석사(MS)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 6월 12일 대학 시절 웨이터로 일하며 만난 젤라 존 포드(Zella Zon Ford)와 결혼했다.[2] 석사 학위 취득 후 화학 회사 듀폰에 잠시 근무했다.[4] 1924년 가을, 마블 교수의 도움으로 필라델피아 종합 병원에서 조교 생화학자로 일하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 의학부에서 임상 화학 강의를 도왔다. 당시 마블 교수는 뒤비뇨가 10파운드의 쿠페론을 만드는 대가로 필라델피아로 가는 여비를 지원해주었다.[2]

1925년 학업을 재개하여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존 R. 멀린(John R. Murlin) 교수의 지도 아래 인슐린의 황 성분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인슐린의 황'이라는 논문으로 1927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

2. 2. 연구 경력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존 제이콥 아벨 밑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활동했다.[4] 1928년부터 1929년까지는 국립 연구 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 펠로우 자격으로 유럽으로 건너갔다. 독일 드레스덴에 있는 카이저 빌헬름 가죽 연구소에서는 막스 베르그만, 레오니다스 제르바스와 함께 연구했고,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조지 바거와 함께 연구를 수행했다. 그 후 일리노이 대학교로 돌아와 교수가 되었다.[4]

1932년에는 워싱턴 D.C.에 위치한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38년에는 뉴욕 시의 코넬 의과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1967년 명예교수가 될 때까지 코넬 의과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 은퇴 후에는 뉴욕주 이타카에 있는 코넬 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4]

1974년 뇌졸중을 겪은 후 연구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아내 젤라 존 포드가 세상을 떠난 지 1년 뒤인 1978년에 사망했다.[4]

3. 연구 업적

뒤비뇨의 연구 경력은 황을 함유한 펩타이드, 단백질, 특히 펩타이드 호르몬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는 옥시토신[5]바소프레신[5]의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합성하는 연구를 통해 195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1] 그의 연구는 펩타이드 화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1.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 연구

뒤비뇨는 황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단백질, 특히 펩타이드 호르몬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옥시토신[5]바소프레신[5]의 구조를 밝히고(해명) 합성하는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는 AVP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연구와 함께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1] 이 연구 이전에도 인슐린, 비오틴, 전이 메틸화, 페니실린 연구로 학계에서 인정받았다.[6]

또한 뒤비뇨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의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구조-활성 관계)를 연구했는데, 이는 펩타이드 분야에서 이루어진 초기 연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황 화학 및 대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의 여정''(A Trail of Research in Sulfur Chemistry and Metabolism and Related Fieldseng)이라는 제목의 저서로 집대성되었다.

3. 2. 기타 연구

뒤비뇨의 연구 경력은 황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단백질, 특히 펩타이드 호르몬 연구에 중점을 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옥시토신[5]바소프레신[5]의 구조 규명 및 합성에 대한 연구로 노벨상[1]을 수상하기 이전에도, 그는 인슐린, 비오틴, 전이 메틸화, 페니실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미 학계에서 명성을 얻고 있었다.[6]

그는 또한 옥시토신바소프레신에 대한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는데, 이는 펩타이드 분야에서는 최초로 시도된 연구일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황 화학 및 대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의 여정'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4. 수상 경력

뒤비뇨는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그의 연구 업적을 인정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
1948년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1954년렘센상
1955년노벨 화학상, 파사노상
1956년윌러드 깁스상



특히 1955년에는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황 화합물에 대한 연구, 특히 폴리펩타이드 호르몬의 최초 합성"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는 펩타이드 호르몬옥시토신에 대한 그의 연구 업적을 인정한 것이다.[5]

또한 여러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연도학회
1944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7][8][9]
1944년미국 철학회 회원[7][8][9]
1948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7][8][9]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5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AB 2016-11-17
[2] 논문 Vincent du Vigneaud: following the sulfur trail to the discovery of the hormones of the posterior pituitary gland at Cornell Medical College 2016
[3] 논문 Trail of sulfur research: from insulin to oxytocin https://pubmed.ncbi.[...] 1956
[4] 웹사이트 Vincent du Vigneaud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2-09-20
[5] 논문 The Synthesis of Oxytocin
[6] 논문 The Nobel trail of Vincent du Vigneaud
[7] 웹사이트 Vincent du Vigneaud http://www.nasonline[...] 2023-04-03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03
[9] 웹사이트 Vincent du Vigneaud https://www.amacad.o[...] 2023-03-02
[10] 웹사이트 Vincent du Vigneaud https://academictr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